화폐: 쌀, 포화, 저화 저화(종이돈)은 실사용이 0에 수렴했다. 쌀 도량이 15세기(세종)에 한 번 더 개선 되었다.(1.67배 더 커졌다.) 1석(전석) = 쌀 15두(20두) = 150되(200되). < 표1. 조선시대 표준양기.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포화는 정식적으로 5승포가 정석이다. 하지만 세금 외 실거래는 2승, 3승이 쓰였다. 5승(400가닥, 세금기준), 3승(240가닥, 시장거래) < 3승포로 만들어진 야청쾌자.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들쭉날쭉한 면포의 물가 변동 14세기(고려 공민왕), 1필 = 쌀 2말(斗,두) = 6.8kg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자료) 15세기말, 1필 = 쌀 1말(斗, 두) = 5.3kg = 1.2만원 16세기 이후, 1필 = 쌀 4말(斗, 두) = 21kg = 약 5만원 (우리역사넷 자료)
물가(평균 추정치)
면포: 1필 = 쌀 4말
금: 1냥 = 면포 30필
은: 1냥 = 면포 2필
은(일본산 수입): 은 1근 = 16냥( 1611년 9월 쓰시마 최초의 세견선 기준 )
콩: 2합 = 쌀 1합
비단: 1필 = 면포 40필 (추정이유는 문종 때 말 가격 기록. 말 1필 = 비단3필+목면2필 = 120~130필)
노비: 1명 = 면포 150필
누비솜옷: 상평통보 2-4냥 = 쌀 8-16말 (18세기 이재난고 기록) - 이전 기록은 찾기 힘듦.
말: 1필 = 문종 원년(1450) 면포 120-130, 중종3년(1509) 면포 300-400, 선조 37년(1604) 면포 60-70필 말 가격은 조선 후기로가면서 점차 저렴해지지만 역시 들쭉날쭉하다.
< 표2. 조선 국내의 말값 비교표 출처: 우리역사넷 >
문종 때는 명과 말을 거래할 때 가격을 단순화 했다. 중마 기준으로 견(비단) 10필 -> 6필 -> 비단3필, 목면 2필
< 표3. 태종원년(1401년) 명나라의 말 가격표(5승포·단자·관견·면포). 출처: 우리역사넷 >
명나라
화폐: 은, 대명보초 명은 은의 유통까지 막으면서 대명보초를 200년이 넘게 통용시켰지만 결국 효용성이 없었다. 때문에 1436년 영종(정통제)이 금은제를 폐지했고, 대명보초 발행도 멈췄다. 그리고 통화로 사용하기에는 부족했던 은도 16세기부터는 일본과 포르투갈에 영향으로 쏟아져들어왔다.
평균 추정 물가(동방견문록, 홍루몽 기준)
세입: 1년 = 은 200만냥(흑자)
금: 1냥 = 은 6냥 = 은 60문 = 동 6000문
쌀: 2석(188.8kg) = 은 1냥 = 660위안 = 2024 기준 한화 13만원. (2023 중국 평균 연봉은 12만 700위안).
초피옷: 1벌 = 은 3냥
인삼: 1g = 은 1g <아래는 청나라 때 은화 가치가 얼추 1/3 토막 난 상황을 반영>
평민 한 식구 생활비: 1년 = 은자 8냥
돼지고기: 1근 = 은 0.008 = 동 8문
오리, 닭고기 식사: 1그릇 = 은 0.008= 동 8문
목공, 벽돌공 연봉: 1년 = 은 6-8냥
농사꾼: 하루 = 은 0.008냥 = 동 8문
일본
화폐: 은, 금 센고쿠 시대부터 단절이 생겼다. 동부에서는 은, 서부에서는 금이 주로 사용 되었다. 17세기 에도막부에 들어서야 금,은,동전,지전 등이 화폐로 유통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