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폴리오 Programing Design 3D 2D 최신글 자료수집 우산국 설화 설화나 전설이 그다지 없는데 본토인이 이주한 시기가 130년도 되지 않았다고 하며, 사람 거주를 판단할 유물도 청동기 시대 정도다. 지역 설화섬에만 전해지는 지역 전설은 대부분 지명, 자연물의 이름을 설명하는 이야기이다. [너도 밤나무 이야기], [가제 바위]또는 우산국 관련 역사적 사실이 전설로서 변형되어 전해 오는 이야기들이다.설화 이름내용 요약비고 or 출처너도밤나무 이야기산신령이 밤나무 100개 심으라고 협박. 검사하는데 99개라 사람들이 떠니까 한 나무가 '나도 밤나무'라고 했다.ㄹㅇ?가제바위멸종한 울릉도 강치(가제, 가지)가 머물던 바위 이름. 나팔봉과 투구봉신라의 우산국 침략과 1,2차 세계대전 때 나팔봉에서 나팔소리가 났다. 투구봉은 모양 때문에 붙은 이름.2007,조은희, 울릉군지비파산과.. 자료수집 16세기 명나라의 식량수급 원나라 시기에 지어진 대운하가 명나라 시기에 많이 개선되었다.떼문인지 주요 도시와 지역은 대체로 대운하(大運河) 근처에 집중되어 있었고, 이쯤 지방의 기후나 특성에 맞는 특수한 상품작물들을 농사짓는 거대한 규모의 대농장들도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홍수나 가뭄에 의한 피해가 발생했다.내수식량 강소(江蘇, 장쑤) - 쑤저우, 양저우주요 생산물: 쌀특징: 명나라 초기부터 양쯔강 중하류 지역은 '쌀 창고'로 불리며 대량의 쌀을 생산해 북경 등으로 공급.대운하를 통해 대규모로 쌀을 운반.절강(浙江, 저장) - 항저우, 쟈싱주요 생산물: 쌀, 차특징: 강남 지역으로 농업 생산성이 매우 높았으며, 대운하를 통해 물자가 이동함.산동(山東, 산둥) - 지난, 둥핑주요 생산물: 밀, 수수, 면화, 소금특징: .. 자료수집 16세기 동남아시아 역사 16세기 말 조선도 임진왜란을 겪긴 했지만, 정말 비교적으로 본다면 평화로웠다.동남아시아는 15세기부터 새로운 국가의 탄생과 충돌로 난리도 아니었다.아시아의 주 식량자원인 쌀 생산량도 안정적이었고 무역거점 위치로도 안성맞춤이기에 노리는 곳이 많았다. 지도에서 색깔이 같아도 이름이 다르면 통치자도 다른 왕국이고 종교, 문화, 국가이념도 통합되지 못한 곳이 대부분이다. 지역 정보 요약수마트라섬수마트라섬은 19세기 전 까지 4개 이상의 술탄국가들이 존재했다. 팔렘방지역수마트라 동부의 팔렘방은 1347 마자파힛에게 복속되었으나 아슬아슬한 관계를 이어가다가 드막 술탄국에 속한다.17세기에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에 침략당한다. 당시는 후추무역으로 가장 인기있던 자리였다.자바섬자바섬 서부는 반튼, 중부는 드막, 서부는.. 자료수집 16세기 동아시아 세금 요약국가주요 재정 수입특징조선전세, 공납, 역농업중시. 방납과 대립의 성행을 해결 못함. 하급관리(서리, 아전 등)의 임금부족으로 비리가 횡행. 명토지세, 상업세, 소금세, 해상무역은 수요가 과하게 증가.일본 토지세, 상업세, 은광다이묘 주도, 은판매.베트남토지세, 무역세왕권이 약화되던 시기라 세수확충도 쉽지 않음. 조선세금 담당 조직호조에서 담당하는데, 호조의 업무는 제정, 회계, 인구조사 등 경제관련 업무를 모두 맡았다. 조세 수입전세(田稅): 농민이 경작한 토지에 부과된 세금. 토지의 생산량을 기준으로 쌀, 베, 돈 등으로 징수.공납(貢納): 지역 특산물을 중앙 정부에 납부. 물류유통 상황에 따라 대납을 허용하자 방납도 성행.역(役): 군역과 '노동력'을 제공하는 형태로, 농민은 대가를 지불하는 ‘.. 자료수집 16세기 동아시아의 종교 - 도교 도교(道敎)도교는 중국 한족의 민족종교로 한국과 동남아시아, 일본에도 영향을 미쳤다.다만 한국에서는 도교의 종교적 색체가 다른 나라보다 조금은 낮은편이다.기원전 한족 주변의 토속신앙들이 모여 만들어졌고 그 과정에 노자가 중요한 역할을 끼쳤다. 종교로서의 확립은 4-5세기 중반에 이루어졌다. 도가사상의 핵심은 도(道)다. 도는 뭐라고 명확히 설명할 수 없으나 음양의 조화처럼 뭔가 하나일 수 없는 영원한 흐름을 이야기한다. '득도하다.', '신선이 되다.'라는 개념이 도교에서 나왔다. 국가별 특징국가시작 또는 주요특징16세기 특징중국시간이 흐를수록 민간에서만 사용됨.문화대혁명 이후 크게 쇠퇴하고 사이비 소재도 많아짐.도교가 통치신앙에서 민간신앙으로 이전되는 시기.한국삼국시대 당나라와 교류로 시작하지만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