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나라 | 사용 선박(크기순) | 비고 |
조선(한선) | 판옥선, 거북선, 맹선 | 노(櫓) 가 있다. |
명(정크선) | 정크선(사선, 복선, 광선, 조선) | 노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 |
일본(화선) | 주인선, 변재선, 안택선, 관선, 소조네 | 노가 있다. |
포르투갈 | 갤리온 | 범선. |
네덜란드 | 플류트 | 아시아는 17세기 초 등장하는 범선. |
조선: 대,중,소 구분이 있어 이름 종류가 적다. 대부분 평저선
- 판옥선(板屋船): 80~280톤. 군함. 24문 이상. 50~125명 승선.
- 맹선(猛船): 50톤급. 중형 조운선(화물선)을 개조한 군함. 30~80명 승선. 16세기 초까지만 사용.
- 거북선: 대판옥선 크기. 군함. 14~36문. 150~164 승선. 철갑선. 특수선.
이미지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명: 크기순으로 진극,조,객극 구분을 했다. 아래는 지역별 구분이다.
15세기 정화함대에 사용된 배는 평균 600~1500톤이었다고 추정된다. 의견이 다분하다. 아시아 내부에서 운용되는 배의 배수량은 평균 30m 길이로 추정할 때 판옥선과 비슷했을 듯하다.
- 사선(沙船): 중국북방~남아시아 까지 얕은 수역에 사용. 평저선.
- 복선(福船): 푸젠성지역. 4층으로 구성. 전투선으로 사용됨. 활수창, 만재흘수선의 구멍으로 배의 흔들림 안정화.
- 광선(廣船): 광둥성 지역. 항해성능이 좋음. 무역선, 전투선.
- 조선(鳥船): 저쟝성 지역. 소형쾌속선.
이미지 출처: Great Ming Military
일본: 전국시대에 해전이 잦기에 빠른 선박건조에 적합한 재료와 방식이 선택되었다.
- 관선(関船, 세키부네): 50톤급. 군함, 왜구군함. 14~30노. 60~100명 승선. 협저선으로 평저선보다 갑판이 낮다.
- 소조선(小早船, 고바야부네): 50톤 미만. 연락선 및 군함. 8~30노. 세토내해에서 주로 사용.
- 안택선(安宅船, 아타케부네): 75~150톤. 군함. 50~200명 승선. 집모양 망루가 지휘관에 따라 커지는게 특징. 텟코센(鉄甲船) 으로 철편을 두른 배가 잠시 등장. 대포 없음.
- 주인선(朱印船, 슈인센): 90~180톤급. 17세기 초 도쿠가와 막부 주인장 소지한 무역배.
- 변재선(辨財船, 베자이부네): 에도시대에는 300석(45톤), 18세기 1000석(150톤), 여객화물선.
이미지 출처: WoodyJOE
포르투갈
- 갤리온
네덜란드
- 플류트: 200~300톤급, 화물선, 갤리온 개조. 동인도회사에서는 17세기부터 사용.
참고: 나무위키. 범선. 한선. 조운선. 화선. 안택선. 정크선. 중국. 플류트.
참고: kotobank. 변재선. 브리타니국제대백과사전
참고: shiroyume. 주인선. 더블엔제이. 네이버블로그
참고: 김성준(2011). 정크 선과 정화가 타고나간 배. 부산일보
'취미 > 자료수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진왜란 이후의 동아시아 (1) | 2024.11.13 |
---|---|
16세기 동아시아의 외교 (5) | 2024.11.12 |
16세기 동아시아(한,중,일)의 식탁 (7) | 2024.11.10 |
16세기 동아시아의 해적활동 (0) | 2024.11.09 |
기슈정벌 (3) | 2024.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