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미

15-16세기의 기근목록 조선시대 '기근' 하면 17세기 경신대기근이 회자되지만, 대부분의 기근에 큰 영향력을 끼치는 소빙기의 시작은 13세기부터였다. 위키백과(饥荒列表, List_of_famines)에 기근 목록이 있는데, 뒤로 갈수록 기록이 많다. 하지만 그만큼 사료가 많아서 그렇지 꼭 시간이 지날수록 기근이 늘어났다고 할 수는 없다.  기근 목록연도국적이름 또는 지역 연관 사건1441마야마야판정글 한복판에 가뭄과 대기근마야 멸망1441조선강원도이명덕이 구황 계책을 잘못써서 교체황희가 진휼 후 승진(도총제부사).1446조선평안,황해도1446, 1447 2년간의 가뭄과 기근관개시설 확충을 포치(공지)1446아즈텍아즈텍메뚜기, 호수범람, 서리, 가뭄(1450~54)꽃의 전쟁 행사(추정)1457명북기, 산동기근가로수와 무덤이 파헤..
16세기 동아시아의 출판, 인쇄 조선특징조선의 금속활자 기원은설은 대부분 11~13세기로 전해진다.15세기 세종때에 글자체에 따라 금속활자 종류만 35종(조선 17, 중국18)이 있었다.주자소는 혁파(1460 세조 6년) 전 까지 활자 제작과 서적 출간을 담당했다. 인쇄 방법 및 속도방법: 활자조립 -> 활자에 먹물 도포 -> 종이 덮고 밀대로 문지르기세종 시기 갑인자 등장 이전에는 하루 20장이었지만 이후에는 40장으로 빨라졌다.활자 재료의 변화14세기(고려) 납 -> 15세기(세종) 구리 -> 16세기 중앙관청만 구리, 나머지는 목판인쇄평균 책값(고서촬요 기준)종이값: 백지 6권 = 120장 = 면포 1필인쇄비용: 평균 20첩(4000장) = 면포 1필명나라특징목판인쇄가 주를 이뤘다.>에 따르면, 만력제 때에는 인쇄기술 형상으로 강..
15-16세기 동아시아의 화폐와 물가 조선화폐: 쌀, 포화, 저화저화(종이돈)은 실사용이 0에 수렴했다.쌀 도량이 15세기(세종)에 한 번 더 개선 되었다.(1.67배 더 커졌다.) 1석(전석) = 쌀 15두(20두) = 150되(200되).포화는 정식적으로 5승포가 정석이다. 하지만 세금 외 실거래는 2승, 3승이 쓰였다.5승(400가닥, 세금기준), 3승(240가닥, 시장거래)들쭉날쭉한 면포의 물가 변동14세기(고려 공민왕), 1필 = 쌀 2말(斗, 두) = 6.8kg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자료)15세기말, 1필 = 쌀 1말(斗, 두) = 5.3kg = 1.2만원16세기 이후, 1필 = 쌀 4말(斗, 두) = 21kg = 약 5만원   (우리역사넷 자료)물가(평균 추정치)면포: 1필 = 쌀 4말금: 1냥 = 면포 30필은: 1냥..
16세기 동아시아의 사법 당시 포르투갈의 아시아 진출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함께 요약했지만, 아직 동인도회사는 없었어서 그런지 사법 분야로는 연관점을 찾기 어려웠다.  조선사법기관: 사헌부, 의금부, 형조, 한성부, 장례원, 지역관청(포도청, 토포사, 전옥서)주요 법: 경국대전, 신문고15세기 세조 때 시작되었고 성종 때 완성된(1485년) 경국대전(을사대전)을 따른다.민사와 형벌은 대명률을 많이 참고했다.민법은 성문화 된 예가 별로 없다.신문고는 일종의 '마음의 소리 실명제'이다. 일반 백성도 왕에게 직통으로 억울함을 호소할 수 있는 연락관 소환 버튼(북)인데 실제 사용된 기록은 거의 없다.  명나라특징: 철저하게 군사, 행정, 사법이 나눠져 있었다. 사법기관: 제형안찰사사(형, 옥을 총괄한다.) 주요 법: 대명률이전의 당률과..
16세기 동아시아의 음악 조선종묘제례악 - 조선 초기에는 고려시대의 향악을 계승하였지만 제례 때에는 명나라의 아악을 연주했었다.15세기 세종대왕이 박연과 '정대업', '보태평'을 만들어 사용했다.현악기 월금의 경우는 기록상 당악기로 등록 되어 있지만 아악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향악에만 실사용 되었다고 한다.  트렌드관현 반주의 새로운 노래가 유행. 북전·중대엽(中大葉)·삭대엽(數大葉).사대부, 풍류객 중심으로 거문고 기악 합주 유행.  명나라14세기 원나라때에는 발전이 주춤했지만 한족이 재집권한 명나라 때 부터 다시 아악을 제정했고, 조선에 큰 영향을 끼쳤다.1552년 상륙한 스페인 예수회 신부들은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선교활동에 문화적 차이를 느꼈다.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기존 기독교 음악에 중국 전통음악을 융합시켰다. 1..
16세기 동아시아 의복(모자, 장신구 제외) 요약아무래도 의식주 정보는 나무위키만 봐도 참 많은데, 그 중에서도 의복 정보가 특히 정리도 잘 되어있었다. 특징조선한복풍성한 겹옷 명나라한푸비교적 가는 의복 라인 일본기모노옆 트임 인도네시아끄바야바띡 원단 태국쑤타이  몽골(서북아시아)호복단령의 유래  조선: 한복여성 복장의 경우 한푸, 기모노에 비해 활동성이 좋았다. 한푸와는 달리 바지와 치마를 항상 같이 입는다.신분과 재정상황이 양호한 경우 약식에 맞게 여러겹을 입었는데, 여성의 경우가 겹이 더 많았다. 치마가 풍성할수록 평이 좋았다. 저고리의 길이도 점점 줄어드는데, 병자호란 전까지는 허리보다 아래까지 저고리가 내려갔다.다만 평민들이나 여의치 않는 상황에 따라 생략되는 부분도 있었다. 대체로 비싼 부분 위주로 생략되었다. 의복 보관 시 주의할 점이..
15-16세기 동아시아의 건축 서양에서는 르네상스 건축 양식이 화려한 바로크 건축 양식으로 변화하는 시기였다면 동아시아는 어땠을까?요약하자면 동아시아의 건축 역시 무역의 발달과 함께 한층 성장한다. 과거보다 건축에 석재 사용량도 늘어나며 미적인 요소도 내구성도 개선되지만 여기 가속도가 붙은데에는 소빙하기와 전쟁이라는 이유가 있었다. 조선유교와 성리학의 영향으로 서원이 많이 증가했다. 향교와 서원의 경우는 단청이 검소하고 정제의 미가 돋보인다.다만 다른 건축들은 조선 후기로 흐르면 흐륵수록 단청이 화려해졌다. 특히 불가의 단청은 임진왜란 후 승려들의 위상이 회복되며 더욱 화려해진다. 나무와 목재가 전국적으로 감소했고 온돌은 대량 보급이 가능해졌는데, 이런 현상이 건축에 큰 영향을 끼쳤다.팔작지붕이 줄어들고 맞배지붕이나 우진각지붕이 늘어..
임진왜란 이후의 동아시아 언어별 명칭한국어 임진왜란(壬辰倭亂), 정유재란(丁酉再亂) 임진조국전쟁(壬辰祖國戰爭)중국어만력조선지역(萬曆朝鮮之役정체자/万历朝鲜之役간체자), 항왜원조(抗倭援朝)일본어조선출병(朝鮮出兵), 분로쿠(문록)·게이초(경장)의 역(文禄·慶長の役)영어Japanese invasions of Korea포르투갈어La Guerra Imjin: La invasión de Corea  전쟁이 미친 영향국가부정적긍정적조선국가 재정 파탄, 기록 소실, 백성(납치 및 사망), 기술자유출, 명 파병 명분불교 강세, 실학자 명국가 재정(만력제 내탕금 포함), 국방력 약화, 멸망파병 요청 명분여진-명, 조선의 경계 약화, 건국(금, 청)일본(도요토미)병력 손실, 지배력 약화기술자, 노예 확충일본(도쿠가와)-지배력 강화, 에도막부, 무역로..